최근 들어, 이동통신 3사들이 정부의 압박에 못 이겨 새로운 데이터 요금제를 내놨다. 올해 나온 요금제들에 주목할 부분은 기본으로 제공되는 데이터 용량이 아니라, 1~5Mbps 속도로 무제한 사용이라는 속도제한(QoS) 항목이다. 속도제한 항목은 6만원 이상의 고가 데이터 요금제에서 주로 사용되던 것인데, 하루 기본제공되는 데이터가 모두 소진되면 인위적으로 네트워크 속도를 느리게 만든다.

 

 

속도만 느려질 뿐, 사용된 데이터에 대해서 요금에 부과되지 않기 때문에~

쉽게 생각했을 때는 소비자에게 마냥 좋은 장치처럼 느껴진다.

하지만, 여기서 한 가지 우리가 간과하고 넘어가는 부분이 있다.

바로, Mbps에 사용되는 b의 개념이다.

 

대게, Mbps라고 하면 많은 소비자들이 1메가 바이트로 생각한다.

1메가 바이트는 초당 속도가 1MB 정도로,

기본 제공되는 데이터보단 느릴 지 몰라도 일반적인 인터넷 서핑을 즐기기엔 큰 무리가 없다.

그런데, 통신사에서 고지한 Mbps의 b는 바이트(Byte)가 아니라 비트(bit)다.

 

1바이트 = 8비트

 

위의 개념을 Mbps에 대입하면,

1Mbps는 1초당 1024비트를 전송하게 되는데,

1:8의 비율로 속도를 환산하면 128KB/s가 된다.

 

 

수치로는 그 속도가 체감이 잘 되지 않을 수도 있는데~

128KB/s의 속도로는 1분에 7.5MB 용량을 스트리밍하거나 다운받을 수 있다.

요즘 스마트폰 사진의 용량이 3MB에 육박하는 걸 감안하면, 사진 하나도 바로바로 볼 수 없다.

당연히, 유투브 같은 동영상 채널은 언감생심 욕심도 못 낸다.

 

한 방에 이해하는 속도 비교 : 1Mbps < 3G

 

▣ 개인적으로 데이터 욕심이 많다면, 이동통신 3사보다는 알뜰폰 쪽으로 선회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본다. 기존 메이저 통신사의 절반도 안 되는 비용으로 배 이상 많은 데이터를 쓸 수 있기 때문이다.

 

설정

트랙백

댓글

 

▣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 업무용 목적으로 쓰는 게 아니면 사용량에서 데이터 비중이 통화 비중보다 앞선다. 스마트폰의 사용 용도가 통화보다는 인터넷 사용에 특화돼 있다는 얘기다. 실제로, 쥔장의 경우에도 KT의 1.5GB 데이터 요금제를 쓰고 있는데 무료로 제공되는 음성통화는 거의 쓰지 않고, 매달 1.5GB의 데이터만 소모하고 있다. 출퇴근시에 주로 지하철에서 사용하는데, 1.5GB가 많은 것 같아도 동영상 한 번 보면 데이터가 뚝 떨어진다. 4만원에 가까운 통신료에 비하면 데이터 용량이 솔직히 많이 아쉽다.

 

 

올해 이동통신 3사는 정부의 데이터 요금 인하 압박에 마지못해 새로운 데이터 요금제를 출시했다. 유일하게 소식이 없던 SKT도 오늘 새 데이터 요금제인 T플랜을 공개했는데... 솔직히, 기존 데이터 요금제와 큰 차이는 느껴지지 않는다.

 

이동통신 3사 주요 데이터요금제, 데이터 용량및 월정액 비교

 

 (1) SKT

 

  - 스몰 : 1.2GB / 3만 3천원

  - 미디엄 : 4GB / 5만원

  - 라지 : 100GB / 6만 9천원

  - 패밀리 : 150GB / 7만 9천원

  - 인피니티 : 무제한 / 10만원

 

 (2) KT

 

  - LTE베이직 : 1GB / 3만 3천원

  - 톡 : 3GB / 4만 9천원

  - 비디오 : 100GB / 6만 9천원

  - 프리미엄 : 무제한 / 8만 9천원

 

 (3) LG유플러스

 

  - 일반 : 300MB / 3만 2890원

  - 3.6 : 3.6GB / 5만 1590원

  - 스페셜A : 11GB / 6만 5890원

  - 속도 용량 걱정 없는 데이터 요금제 : 무제한 / 8만 8천원

 

# 솔직히 그냥 데이터만 저렴하게 쓰고 싶다면 이동통신 3사보다는 알뜰폰 업체로 옮기는 게 낫다. 위의 절반도 안 되는 가격으로 2배가 넘는 데이터를 쓸 수 있기 때문이다. 알뜰폰이라고 해서 인터넷이 느리지 않을까 걱정을 할 수도 있는데, 어차피 기존 이동통신 3사의 망을 빌려서 서비스를 하는 것이라 속도 면에서 큰 차이는 없다.

 

설정

트랙백

댓글

 

▣ 7월은 집 있는 사람들에게 목돈이 나가는 달이다. 왜냐면, 7월에 본인 명의의 집에 대한 세금이 부과되기 때문이다. 특히, 올해는 공시지가가 대폭 올랐기 때문에 작년 7월보다 그 부담이 커졌다.

 

그렇다면, 이 재산세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안타깝게도 재산세 자체를 줄일 순 없다. 그건 나라에서 정하는 세금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금이 아닌 카드로 재산세를 납부하면 조금이나마 절세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카드 종류별 재산세 결제 혜택

 

 - KB국민 신용카드 : 50만원 이상 일시불 결제시 1만원/100만원 이상시 2만원 신세계상품권 지급

 - KB국민 체크카드 : 결제금액의 0.17% 포인트 적립

 - 우리 체크카드 : 0.2% 캐시백

 - 신한 체크카드 : 0.15% 캐시백

 - 신한 네이버페이 체크카드 : 결제금액의 1%, 네이버페이 적립

 - 신협 체크카드 : 524명을 추첨해 경품으로 480만원 지급

 - 우체국 체크카드 : 10만원 이상 결제시, 5000원 지급(선착순 1만명)

 

 # 기타 : 적립된 신세계 SSG머니, 우리은행 위비꿀머니로 서울시 세금 납부 가능

 

위의 금액적인 할인 혜택 외에도 카드로 결제시 2~6개월 무이자 할부를 적용받을 수 있다. 당장에 낼 목돈이 없는 경우, 세금을 분할해서 낼 수 있다는 뜻이다. 모든 세금이 그렇지만, 재산세도 납기일을 넘기면 가산세가 붙는다. 괜히 돈 없다고 미루다가 가산세 폭탄 맞지 말고, 카드로라도 기일 내에 납부를 하도록 하자.

 

설정

트랙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