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일한 방역시스템이 빚어낸 역대 최악의 조류독감으로 흔한 음식재료로 쓰였던 달걀의 몸값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조류독감 발생 이전만 하더라도 동네마트에서 3-4천원이면 구매가 가능했던 계란 한 판(30개)이 살처분이 이뤄진 뒤, 지역과 소매점에 따라서 2~3배까지 가격이 뛰었다.

 

 

저렴하게 먹을 수 있었던 달걀 몸값이 뛰면서 가장 큰 타격을 입은 건 서민들이다.

달걀은 거의 하루에 1번 식탁에 오르는 저렴하면서도 영양감 있는 음식이다.

그런데, 이제는 그 달걀마저도 사치를 부려야 먹을 수 있다는 우스갯소리가 나오고 있다.

 

정부에서는 사후약방문격으로 천정부지로 뛴 계란 가격을 안정시켜 보겠다고, 해외에서 계란을 무관세로 들여오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현재 외국에서 판매중인 계란의 가격은 100원 안팎으로 상당히 저렴한 편이다. 관세없이 들여온다면 지금의 계란 대란을 혹시나 바로잡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이 들기도 한다.

 

하지만, 벌써부터 언론에서 비판적인 시각이 팽배하다.

100원 안팎의 수입산 계란이 한국으로 건너올 경우, 그 가격 이상의 물류비가 더해질 거라는 우려 때문이다.

경제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정부의 별도 지원이 없을 경우, 수입산 달걀이 우리나라에 들어왔을 때 개당 300원 정도에 판매가 될 거라는 예측이 조심스럽게 흘러나오고 있다.

 

개당 300원이면, 국산 달걀과 비교해서 전혀 가격적인 메리트가 없다.

그렇다면, 정부의 가격안정정책은 공염불이 될 가능성이 높다.

 

개인적으로 달걀과 같은 기초 소비재는 국가가 나서서 어느 정도 유통을 관리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지금도 대형 유통상들이 계란을 몰래 쌓아두고 시장에 풀지 않는다는 불만여론들이 쌓여가고 있는데, 과거의 전적들이 있기 때문에 그 여론을 결코 무시할 수가 없다.

 

우리나라의 유통 체계는 타국에 비교했을 때 상당히 기형적이다.

땅덩이가 넓지 않음에도 생산지에서 소비자에게 돌아가는 데 거쳐야 하는 유통단계가 너무 복잡하게 구성돼 있다.

그러다보니, 소비자 가격이 비쌈에도 정작 생산자에게 이득이 돌아가지 않는 아이러니한 현상이 발생한다.

 

이런 문제를 막기 위해서는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기타 소비재는 몰라도, 필수 소비자는 물가 안정을 위해서라도 정부에서 유통에 개입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설정

트랙백

댓글